YTN은 어제에 이어 오늘도 군용전지 폭발 문제를 집중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무전기 등에 들어가는 군용 리튬 1차 전지는 군 장병들이 실제 사용하는 도중에도 폭발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폭발 사고는 최근 10년 동안 한 해 평균 10건씩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도, 군은 손을 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동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군용 리튬 1차 전지 폭발 사고 사진입니다. <br /> <br />수십 킬로그램에 이르는 무전기가 날아갈 정도로 충격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YTN은 정보 공개 청구 등을 통해 폭발 사고 현황을 입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군 장병들이 무전기나 탐색 장비 등을 사용하던 중 갑자기 배터리 부분이 터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최근 10년 동안 육군에서 모두 95건의 폭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 해 평균 10번꼴입니다. <br /> <br />[박철완 / 전 한국전지학회 상임이사 : (배터리를) 무기 다루듯이 하지 않은 거예요, 군인들이. 이것도 무기 다루듯이 좀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했던 거예요. 즉, 부주의가 더 컸던 거예요.] <br /> <br />특히, 지난해 군용전지 폭발이 대형 화재로까지 번진 이유는 군의 현대화 추세와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레이저를 이용한 가상 전투 장비 도입과 신형 무전기 교체 등으로 군용전지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, 창고에 쌓아만 두고 제대로 관리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[신종우 /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: 무전기는 늘어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서 리튬 배터리 같은 것들도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거죠. 배터리의 문제 때문에 화재가 난 거냐, 보관과 관리 때문에 문제가 난 거냐 따져봐야겠죠.] <br /> <br />10년 치 군용전지 폭발사고 현황을 분석해 보면, 눈에 띄는 점이 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95건 가운데, FM 무전기에 들어가는 특정 전지에서 절반이 넘는 50건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전지는 A사가 독점하다시피 납품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A사의 군납 실적은 급증하고 있어서, 지금도 같은 제품이 군에서 널리 쓰이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A사는 리튬전지는 단락과 과방전 등으로 파열될 수 있다면서, 제품 결함 가능성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YTN 한동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42805431584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